데이터베이스 일반 집합 연산자
2019. 5. 15. 22:35ㆍ정보처리 산업기사/데이터베이스
반응형
일반 집합 연산자
-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연산자.
- 일반 집합 연산자 중 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은 합병 조건이 가능해야 한다.
- 합병 가능한 두 릴레이션 R과 S가 있을 때 각 연산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
연산자 | 기능 설명 | 카디널리티, 수학적 표현 |
합집합 |
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되, 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은 제거. 합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카디널리티의 합보다 크지 않다. (중복이 제거되기도 하기에) |
|R ∪ S| ≤ |R| + |S| R∪S = {t|t∈R ∨ t∈S} |
교집합 INTERSECTION |
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 교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중 카디널리티가 적은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보다 크지 않다. |
|R∩S| ≤ MIN{|R|, |S|} R ∩ S = { t | t∈R ∧ t∈S } |
차집합 DIFFERENCE |
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 차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릴레이션 R의 카디널리티보다 크지 않다. |
|R - S| ≤ |R| R – S = { t | t∈R ∧ NOT t∈S } |
교차곱 CARTESIAN PRODUCT |
두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들의 순서쌍을 구하는 연산 교차곱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를 곱한 것과 같다. |
|R × S| = |R| × |S| RXS = { rs | r∈R ∧ s∈S } |
반응형
'정보처리 산업기사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 내장 SQL (0) | 2019.05.26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 삽입, 삭제, 수정 (0) | 2019.05.24 |
데이터베이스 정규화 (0) | 2019.05.17 |
데이터베이스 관계해석 (0) | 2019.05.16 |
데이터베이스 순수 관계 연산자 (0) | 2019.05.14 |
데이터베이스 관계대수 (0) | 2019.05.13 |
데이터베이스 무결성 (0) | 2019.05.12 |
데이터베이스 키(Key)의 개념 (0) | 2019.05.11 |